계산기와 리코더

공대생을 위한 TI-Nspire CX CAS 계산기 팁 모음

TI-Nspire CX CAS 계산기는 기능이 많다 보니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모두 알기란 힘듭니다. 이 글에서는 공대에서 쓰일 법한 TI-Nspire CX CAS의 주요한 기능들을 모아 팁으로 정리했습니다. 물론 이 글이 공대생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.

나중에 생각나는 대로 글을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.

만약 이름에 CAS가 빠진 TI-Nspire CX (II) 계산기를 가지고 있다면 이 글에서 설명하는 팁 중 작동하지 않는 팁이 많습니다. 이름에 CAS가 들어가 있다면 II가 이름에 들어가 있는지는 상관없습니다.
목차

기본 사용/계산 관련 팁

제가 템플릿 키라고 칭하는 키는 입니다. 9 의 오른쪽, × 의 위쪽에 있습니다.
책 버튼은 입니다. ÷ 의 위쪽, del 의 아래쪽에 있습니다.
  • 분수 입력: 템플릿 키를 눌러서도 입력할 수 있지만 ctrl ÷ 을 누르는 것이 더 빠릅니다.
  • 결과를 소수로 바꾸기: 식을 입력하고 enter 를 누르는 것 대신에 ctrl enter 를 누릅니다.
  • 페이저 입력: (r∠θ) 처럼 입력해야 합니다. 괄호는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.
  • 허수기호 입력: π▶ 를 누르고 나오는 메뉴에서 찾아서 입력합니다. 허수기호는 알파벳 i와는 다릅니다. 계산기에서 허수기호 $i$는 알파벳과 다르게 기울어진 볼드체로 표시됩니다.
  • CAS 활용하기: 이 계산기에는 CAS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. CAS의 특징적인 기능은 문자 계산이 가능한 것입니다. $a+a$를 입력하고 enter 를 누르면 $2a$가 답으로 나옵니다.
  • 쌍곡선함수(하이퍼볼릭) 입력: 카탈로그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trig 를 눌러 sin, cos 등을 입력한 후 뒤에 h 붙이는 게 더 빠릅니다.
  • 그래프 그리기 기본: Document에서 ctrl doc 을 눌러 페이지를 추가한 후 2:Add Graphs를 선택합니다. f1(x)에 원하는 식을 입력하고 enter 를 누릅니다.

설정 관련 팁

  • 삼각함수 값이 이상할 때: doc → 7:Settings & Status → 2:Document Settings로 들어갑니다. Angle을 Degree 혹은 Radian으로 변경합니다. 도 단위를 사용해야 할 경우 Degree를, 라디안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Radian을 선택합니다.
  • 계산 결과를 과학적/공학적 표기로 표시하기: doc → 7:Settings & Status → 2:Document Settings로 들어갑니다. Exponential Format을 Scientific 혹은 Engineering으로 바꾸고 enter 를 누릅니다.

미적분 관련 팁

제가 템플릿 키라고 칭하는 키는 입니다. 9 의 오른쪽, × 의 위쪽에 있습니다.
  • 미분: 템플릿 키를 눌러서 미분 모양 템플릿을 찾으면 됩니다. 미분, 2계(2차) 미분, n계 미분이 모두 있습니다. 미분계수를 구하고 싶다면 미분 기호 옆에 |x=a처럼 입력합니다. |는 ctrl = 를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.
  • 적분: 템플릿 키를 눌러서 적분 모양 템플릿을 찾으면 됩니다. 이중적분, 삼중적분 모두 가능합니다.
  • 미분, 적분이 안 되는 경우: menu → 1:Actions → 4:Clear a-z로 clearAZ를 찾아 입력합니다. 그래도 여전히 안 된다면 ctrl doc 을 누르고 1:Add Calculator를 선택한 후 다시 계산합니다.
  • 인수분해(실수 범위): menu → 3:Algebra → 2:Factor로 찾아 입력합니다. 수와 다항식 모두 인수분해가 가능합니다.
  • 인수분해(복소수 범위): menu → 3:Algebra → C:Complex → 2:Factor로 찾아 입력합니다. 복소수 범위까지 인수분해가 가능합니다.
  • 부분분수 분해(실수 범위): menu → 3:Algebra → 9:Fraction Tools → 1:Proper Fraction로 찾아 입력합니다. 실수 범위의 부분분수분해만 가능합니다.
  • solve(실수 범위의 해): menu → 3:Algebra → 1:Solve로 찾아 입력합니다. 간단한 사용법은 solve(f(x), x)입니다. 콤마 뒤에 붙인 변수 이외에는 모두 상수 취급되어 방정식의 해가 계산됩니다.
  • csolve(복소수 범위의 해): menu → 3:Algebra → C:Complex → 1:Solve로 찾아 입력합니다. 사용법은 solve와 같으나 복소수 범위의 해도 구할 수 있는 차이점이 있습니다.
  • nsolve(실수 범위의 해): menu → 3:Algebra → 6:Numerical Solve로 찾아 입력합니다. solve와는 다르게 수치해를 찾고, 한 번에 하나의 해만 찾습니다. 사용법은 solve와 같습니다.
  • 삼각함수 적분 값이 이상할 때: 위의 "삼각함수 값이 이상할 때"를 따라하여 Angle을 Radian으로 변경합니다.
  • 미분방정식 풀기: menu → 4:Calculus → D:Differential Equation Solver로 deSolve를 찾아 입력합니다. deSolve(미분방정식, 독립변수, 종속변수)처럼 입력합니다. 프라임 기호는 ?!▶ 를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찾아 입력합니다. 결과로 나온 c0, c1 등은 임의의 상수입니다.

기타 팁

  • 음함수 그래프 그리기: 그래프 화면에서 menu → 3:Graph Entry/Edit → 2:Relation를 선택하고 rel1(x,y)에 x와 y로 이루어진 방정식을 입력합니다. 다시 f(x) 형식으로 되돌아가려면 menu → 3:Graph Entry/Edit → 1:Function을 선택합니다.
  • solve로 구한 해에 범위 지정하기: solve(f(x), x)|a<x<b처럼 입력하면 됩니다. |와 부등호는 ctrl = 를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.
  • 함수 만들기: Define f1(x)=(함수 내용) 또는 f1(x):=(함수 내용)으로 입력하면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. 함수 이름 f1과 인자의 개수는 바꿀 수 있습니다. Define은 menu → 1:Actions → 1:Define로 찾아 입력할 수 있습니다. :=은 ctrl 을 누르고 템플릿 키를 누르면 입력할 수 있습니다.
  • 계산기 내장 함수 찾기: 책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카탈로그에서 Nspire의 모든 함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.
작성자: BINUBALL
공학용 계산기와 리코더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. 현재는 fx-570ES PLUS, fx-570EX, fx-9860G3 등의 계산기 사용법을 주로 올리고 있습니다.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